제목 | [보도] 국회예산정책처, 「NABO 인구·고용동향 & 이슈」 창간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부서명 | 국회예산정책처 | 등록일 | 2025-02-25 | 조회 | 142 |
보도자료 |
|
❑ 국회예산정책처는 2월 25일(화) 「NABO 인구·고용동향 & 이슈」를 창간하였다.
◦ 본 간행물은 계간(연4회) 발행되며, 인구동향, 고용동향, 지속가능발전지표 등 성장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지표와 심층적인 이슈 분석을 제공한다.
❑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, ‘인구동향’에서는 우리나라의 출생아수가 반등하였으나 초고령사회에 본격 진입하였음을 확인하였다.
◦ 최근 혼인건수와 출생아수가 반등하고 가족 형성에 관한 긍정적인 사회인식이 다소 높아졌으나,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하락하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%를 초과하였다.
❑ ‘고용동향’에서는 전년동월대비 취업자수가 일부 회복세를 보였으나, 이를 산업별·연령별로 살펴본 결과, 상이한 흐름을 확인하였다.
◦ 건설업과 제조업 고용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, 20대 이하의 고용률은 낮아지고, 60대 이상 취업자수 및 고용률은 증가하였다.
❑ ‘지속가능 성장’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지수 목표 중 보건 분야 성취 수준을 살펴보고, 일부 개선 사항을 확인하였다.
◦ 우리나라 의료수준은 전반적으로 우수하나, 고령화 대응을 위해서는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 증가, 보건서비스 만족도, 지역별 보건 격차 문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.
❑ ‘이슈 분석’에서는 사회발전수준과 합계출산율간의 관계를 분석하고, 시사점을 도출하였다.
◦ OECD 국가의 지속가능발전지수와 합계출산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, 경제성장 과정에서 출산율이 점점 하락하지만, 노동, 교육, 복지, 성평등 등 다양한 분야의 성취가 누적됨에 따라 출산율이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, 저출산·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 전반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./끝/

'국회예산정책처, 「NABO 인구·고용동향 & 이슈」 창간' 저작물은 [공공누리 제1유형] 출처표시+상업적/비상업적 이용가능+변경가능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[저작권정책]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